쾨니히울프 프로젝트의 마지막인 파란색 쾨니히울프 '헤비암즈 쾨니히울프 베타(Beta)' 입니다.
작년에 만든 붉은색 버전인 '파이어 울프'때 헤비암즈 컬러로 만들다고 했던 바로 그 녀석입니다.
'헤비암즈 쾨니히울프 베타(Beta)' 라는 이름은 헤비암즈 쾨니히울프와 같은 컬러지만, 약간 다른면이 있으므로,
'베타(Beta)' 버전이라는 뜻으로 붙여 봤습니다.
-. 설정 (간단)
헤비암즈 쾨니히울프가 생산되는 시점에서
헤비암즈 쾨니히울프를 사용하게될 부대에 보내지기 이전에
극소수의 일부가 미사일포트를 생략하고, 컬러를 약간 바꾸어 에이스 파일럿에게 지급되어 사용되게 되었다.
'울프 마스터'라 불리우는 이들은 비공식적으로 헤비암즈 쾨니히울프를 사용했으며,
그 들이 사용하는 헤비암즈 쾨니히울프는 '헤비암즈 쾨니히울프 베타(Beta)'라 불리게 되었다.
사용한 도료는
락카도료 캐릭터 블루, 블루
마감제는 무광 슈퍼클리어 입니다.
에어브러쉬로 작업했습니다.
작업순서는
-. 약간의 표면 정리
-. 캐릭터 레드 블루 도색
-. 블루 + 캐릭터 블루 소량 도색
-. 도색상태 확인 후 마감제를 뿌림
-. 조립 및 동작확인
기본적으로 흰색이라 서페이서나 베이스작업없이 약간의 표면정리 후에 바로 도색을 했습니다.
조색은 피하는 방향으로 작업하는 것을 좋아해서
전체적으로는 캐릭터 블루로 도색을 했고,
약간의 변화를 주기위해 블루+캐릭터 블루 소량으로 조색해서 무늬를 넣었습니다.
무광으로 마감을 해봤는데, 느낌은 괜찮은 편입니다.
앞으로 반광,유광도료 + 무광 마감제의 조합을 자주 쓰게되지 않을까합니다.
쾨니히울프 마크2의 마음에 안드는 소체색은 바꾸고 싶지만,
한동안은 쾨니히울프 작업계획은 없습니다.
하지만, 쾨니히울프를 좋아하니 언젠간 또 쾨니히울프로 작업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. ^^







마지막 사진은 쾨니히울프 프로젝트 3종의 모습입니다.
왼쪽부터 '파이어 울프(붉은색 버전)', '쾨니히울프(노말 버전)', '헤비암즈 쾨니히울프 베타(파란색 버전)' 입니다.
작년에 만든 붉은색 버전인 '파이어 울프'때 헤비암즈 컬러로 만들다고 했던 바로 그 녀석입니다.
'헤비암즈 쾨니히울프 베타(Beta)' 라는 이름은 헤비암즈 쾨니히울프와 같은 컬러지만, 약간 다른면이 있으므로,
'베타(Beta)' 버전이라는 뜻으로 붙여 봤습니다.
-. 설정 (간단)
헤비암즈 쾨니히울프가 생산되는 시점에서
헤비암즈 쾨니히울프를 사용하게될 부대에 보내지기 이전에
극소수의 일부가 미사일포트를 생략하고, 컬러를 약간 바꾸어 에이스 파일럿에게 지급되어 사용되게 되었다.
'울프 마스터'라 불리우는 이들은 비공식적으로 헤비암즈 쾨니히울프를 사용했으며,
그 들이 사용하는 헤비암즈 쾨니히울프는 '헤비암즈 쾨니히울프 베타(Beta)'라 불리게 되었다.
사용한 도료는
락카도료 캐릭터 블루, 블루
마감제는 무광 슈퍼클리어 입니다.
에어브러쉬로 작업했습니다.
작업순서는
-. 약간의 표면 정리
-. 캐릭터 레드 블루 도색
-. 블루 + 캐릭터 블루 소량 도색
-. 도색상태 확인 후 마감제를 뿌림
-. 조립 및 동작확인
기본적으로 흰색이라 서페이서나 베이스작업없이 약간의 표면정리 후에 바로 도색을 했습니다.
조색은 피하는 방향으로 작업하는 것을 좋아해서
전체적으로는 캐릭터 블루로 도색을 했고,
약간의 변화를 주기위해 블루+캐릭터 블루 소량으로 조색해서 무늬를 넣었습니다.
무광으로 마감을 해봤는데, 느낌은 괜찮은 편입니다.
앞으로 반광,유광도료 + 무광 마감제의 조합을 자주 쓰게되지 않을까합니다.
쾨니히울프 마크2의 마음에 안드는 소체색은 바꾸고 싶지만,
한동안은 쾨니히울프 작업계획은 없습니다.
하지만, 쾨니히울프를 좋아하니 언젠간 또 쾨니히울프로 작업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. ^^







마지막 사진은 쾨니히울프 프로젝트 3종의 모습입니다.
왼쪽부터 '파이어 울프(붉은색 버전)', '쾨니히울프(노말 버전)', '헤비암즈 쾨니히울프 베타(파란색 버전)' 입니다.